반응형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한쪽으로 전류를 흘리는 소자입니다.
물이 거꾸로 흐르는걸 막는 체크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Cathode쪽은 - Anode쪽은 + 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류가 잘흐르게 됩니다.
반대로 Cathode쪽은 + Anode쪽은 - 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됩니다.
전자에서 + 와 -의 의미는 수학에서의 절대 수치가 아니라 높은쪽이 + 낮은쪽이 -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다이오드를 통과할때 0.7V의 전압이 떨어집니다.
다른말로 풀이하자면 Cathode(-) 보다 Anode(+)가 0.7V 이상 되어야만 다이오드가 동작하게 됩니다.
건전지 에서 반도체 소자사이에 많이 사용하겠지요
일반적으로 Chip(microprocessor,반도체 소자)에 +,-를 반대로 연결하면 chip이 발열하면서 타버립니다.
건전지를 거꾸로 넣어 chip이 타버린경우는 거의 없을겁니다. 바로 앞에 다이오드가 반대로 들어오는 전류를 막기 때문이죠
빠른 스위칭을 위해서는 스위칭 다이오드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다이오드를 응용한 제품들 입니다.
LED 입니다. 빛을 내는 다이오드가 있습니다.
제너다이오드라고 해서 꺾인 날개를 달고 있는 다이오드입니다.
높은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만들어서 직류 어댑터에 사용됩니다.
다이리스터 는 제너다이오드를 양쪽으로 붙인 다이오드입니다.
정전기 같은 높은 전압이 유기 될때 Chip이 손상되는것을 막아줍니다.
다이오드는 한쪽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는 소자입니다.
반응형
'SW개발자를 위한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AMP 응용 (0) | 2023.05.24 |
---|---|
차동증폭기 (0) | 2023.05.24 |
트랜지스터(Transistor) (0) | 2023.05.24 |
커패시터(Capacitor) (0) | 2023.05.24 |
인덕터(Inductor) (0) | 2023.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