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processor11 Nand Flash Boot CPU가 동작하는 방식은 명령어를 가져와서(Fetch) 해독(Decode)을 하고 실행(Execute)하는 방식입니다. Fetch -> Decode -> Execute ARM의 경우 5단 6단계를 거치긴 하지만 큰틀은 변하지 않습니다. 제일처음 하는것이 명령어를 가져오는 Fetch 입니다. 명령어의 경우 32bit 또는 16bit로 구성되죠 Random Access가 가능한 RAM이나 NOR Flash의 경우 번지를 지정해서 32bit 또는 16bit Data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NAND의 경우는 조금 다릅니다. 먼저 NAND FLASH에 관한 지식이 조금 필요합니다. NAND는 Random Access가 안되는 메모리구조입니다. 512/2K/4K Byte가 한개의 Page로 구성이 되고 이 .. 2023. 5. 31. EBI & CS EBI (External BUS Interface) 외부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기위한 통로를 EBI라고 부릅니다. 여러개의 Bit Data가 지나가는 통로를 BUS라고 부릅니다. 앞서 Address Map에서 보신것과 같이 CPU는 여러장치와 정보를 주고 받아야 합니다. 정보를 주고 받기 위해서 제일 필요한것은 Address입니다. 그리고 Data입니다. 일반적인 메모리의 경우 읽기와 쓰기가 가능합니다. Data BUS를 통해 값이 쓰는지 읽는지를 구분해야 하기 때문에 Read, Write Line이 별도로 필요하게 됩니다. Pin 이름이 / 또는 - 로 표시되어 있다면 Digital 회로에서 0일경우 동작하고 1일경우는 동작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따로 표시되어 있지 않을경우는 1일경우 동작하고 0일경.. 2023. 5. 31. Address Map vs Memory Map PC나 Mobile 기기에서 사람의 머리 역할을 하는것은 CPU입니다. 결국 모든일은 중심은 CPU가 한다는 것이죠.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장치가 CPU와 어떤 방법으로든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우체부 아저씨가 편지를 전달해 주기 위해 주소 및 번지를 사용하듯이 CPU또한 각 장치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장치가 가지는 번지로 접근을 하게 됩니다. CPU가 특정한 번지들은 CPU가 전용으로 사용하기위해 HW 적으로 설계를 하는경우도 있고 확장을 위해서 외부에 여러 장치가 붙을 수 있도록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습니다. 번지마다 무슨 기능을 하는지 만들어 놓은 지도가 바로 Address Map 이라고 합니다. Microprocessor는 일반적으로 32bit를 많이 사용하는데 .. 2023. 5. 30.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