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W개발자를 위한 HW

정류회로

by 청운추월 2023. 5. 24.
반응형

정류회로

정류회로란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회로를 말합니다.
전자제품 충전기의 경우 5V,12V 등의 어댑터를 많이 사용합니다.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알아볼까요?


Source는 220V 가정용전압이 교류로 들어오게 되면 인덕터가 2개 붙은것 처럼 생긴 트랜스포머로 가게 됩니다.
이것 어댑터의 80%를 차지하는 철판과 코일로 구성됩니다.
이것의 역할은 전압을 유도하는것입니다.
예를들어 왼쪽에 220회 감고 오른쪽에 12번을 감으면 오른쪽에는  12V의 교류전압이 발생되게 됩니다.
왼쪽에 440회를 감고 오른쪽에 24번을 감으면 전압을 그대로 전류는 2배 증가가 됩니다.
12V의 교류전압은 다이오드를 통해 -쪽 파형이 +쪽 파형으로 나오게 되죠
여기서 보이는 다이오드가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해서 Bridge Diode라고 이름을 부릅니다.
Bridge Diode를 지난 신호는 쌍바위골(표현이 ^.^?)과 같은 신호가 계속 출력되게 됩니다.


a)의 파란색 신호는 Bridge Diode를 통과한 신호입니다.
Capacitor와 Inductor를 통해 전압이 충전해서 서서히 방전하기 때문에 빨간색과 같이
최고점에서 서서히 방전을 하게 되고 충전되고 서서히 방전되고를 반복하게 됩니다.
그러면 b)와 같은 직류전압이 나오게 됩니다.
결국 Capacitor와 Inductor를 어떻게 쓰냐에 따라
전압이 일정하게 나오느냐 아니면 조금씩 출렁거리느냐가 결정되겠네요

 

 

반응형

'SW개발자를 위한 HW'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시벨  (0) 2023.05.24
임피던스, 최대전력전달  (0) 2023.05.24
OPAMP 응용  (0) 2023.05.24
차동증폭기  (0) 2023.05.24
다이오드(Dioad)  (0) 2023.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