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4 커패시터(Capacitor) 커패시터 커패시터는 전계에서 충전,방전 함으로써 소자를 가로지르는 전압의 변화를 억제하는 소자입니다. 오른쪽 그래프는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나타냅니다. 충전전압은 약 63% 까지는 급격히 충전하다가 이후는 서서히 충전하게 됩니다. 방전전압은 약 37% 까지는 급격히 방전하다가 이후는 서서히 방전하게 됩니다. 급격히 충전또는 방전하는 시간을 시정수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시정수(타우)는 C(캐패시터) x R(저항) 입니다. 시정수는 최대 전압 백분율의 약 63%가 되는 시간입니다. C와 R 값이 클수록 충전시간이 길어지고 C와 R 값이 작을수록 충전시간의 짧아집니다. 인덕터와의 차이는 인덕터는 전류의 흐름과 연관이 많고 커패시터는 전압과 연관이 많다는것이지요 커패시터는 인덕터 보다 많이 사용됩니다. .. 2023. 5. 24. 인덕터(Inductor) 인덕터 인덕터는 자계에서 에너지를 충전,방전 함으로써 소자를 통과하는 전류의 변화를 억제하는 소자입니다. 오른쪽의 그래프는 인덕터를 통과하는 전류의 양을 나타냅니다. 충전전류는 약 63% 까지는 급격히 충전하다가 이후는 서서히 충전하게 됩니다. 방전전류는 약 37% 까지는 급격히 방전하다가 이후는 서서히 방전하게 됩니다. 급격히 충전또는 방전하는 시간을 시정수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위의 식에서 시정수(타우)=L(인덕터)/R(저항)로 구할 수 있는데 시정수는 최대전류 백분율의 약 63% 되는 시점입니다. 따라서 L의 값이 클수록 R의 값이 작을 수록 그래프는 완만하게 증가하겠지요 위의 그래프와 같이 전압이 인가 되면 전류가 갑자기 증가 하다가 완만히 증가하게 됩니다. 인덕터 양단의 전압은 식과 같이 .. 2023. 5. 18. 저항(Resistor) 저항 저항은 말 그대로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것입니다. 전류와 전압과 저항의 관계는 아래 식에서 나타납니다. V(전압) = I(전류) x R(저항) : 옴의 법칙 다르게 나타내면 I(전류) = V(전압) / R(저항) 쉽게 이야기 하자면 물(전류)이나오데 호스중간을 발로 밟을(저항)때를 생각해 보면 됩니다. 저항이 커지면 수압은 커지고 나오는 물의 양은 작아지겠죠 위의 식에서와 같이 저항의 역할은 저항값으로 전압 크기와 전류의 양을 결정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2023. 5. 18. 전자부품 C언어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하시는 분은 잘 아실테지만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있어 가장 기초적인것은 1. 변수선언(char int long) 2. 연산(+ - * /) 3. 조건문(if) 4. 루프(for while) 위의 4가지만 알면 프로그래밍이 가능합니다. 나머지 structure/pointer/function pointer 등도 알아야 겠지만 개인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는 몰라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회로에서도 위와 마찬가지 입니다. 가장 기본이 되는 부품은 1. 저항 (R : resistor) 2. 인덕터(코일) (L : Inductor) 3. 커패시터(콘덴서) (C : capacitor) 4. 트랜지스터 (Tr : Tramsistor) 5. 다이오드 (D : Diode) 위의 5가.. 2023. 5. 18.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