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03 차동증폭기 차동증폭기 차동증폭기는 입력되는 신호의 차이 만큼 증폭시키는 회로이다. Vin1의 입력신호와 Vin 2의 입력신호의 차이만큼이 증폭되어 Vout 1과 Vout 2로 출력이 됩니다. Vout 1과 Vout 2의 신호는 정확히 반대의 신호를 가지게 됩니다. 트랜지스터밑의 정전류원은 전류를 일정하게 당기게 되는데 Vin 1에 신호가 들어오면 Vout 1의 전압은 낮아지고 정전류원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Vout 2의 전압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차동증폭기는 다른 말로 OP-AMP로 불립니다.흔히 쓰는 말이기도 합니다. 블럭다이어그램에 빠짐없이 등장하는 그림이죠. 2023. 5. 24. 다이오드(Dioad) 다이오드 다이오드는 한쪽으로 전류를 흘리는 소자입니다. 물이 거꾸로 흐르는걸 막는 체크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Cathode쪽은 - Anode쪽은 + 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류가 잘흐르게 됩니다. 반대로 Cathode쪽은 + Anode쪽은 - 로 연결되어 있으면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됩니다. 전자에서 + 와 -의 의미는 수학에서의 절대 수치가 아니라 높은쪽이 + 낮은쪽이 -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다이오드를 통과할때 0.7V의 전압이 떨어집니다. 다른말로 풀이하자면 Cathode(-) 보다 Anode(+)가 0.7V 이상 되어야만 다이오드가 동작하게 됩니다. 건전지 에서 반도체 소자사이에 많이 사용하겠지요 일반적으로 Chip(microprocessor,반도체 소자)에 +,-를 반대로 연결하면 chip이 .. 2023. 5. 24. 트랜지스터(Transistor)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는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는 소자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동작은 아래그림을 보면 Collector(콜렉터)는 물이 들어가는 입구 입니다. Emitter(에미터)는 물이 나오는 출구 입니다. Base(베이스)는 밸브 꼭지입니다. Base에 밸브를 열면 Collector에 있는 물이 Emittor로 나오게 됩니다. 이것이 트랜지스터 입니다. Base와 Emitter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밸브가 열리거나 닫히게 되고 밸브가 닫히면 Collector로 들어온 물(전류)이 Output으로 많이 흐르게 되고 밸브가 열리면 Collector로 들어온 물(전류)이 Emitter로 많이 흐르기 때문에 Output으로 적은 물(전류)이 흐르게 됩니다. 밸브 꼭지를 조금만 돌려도 밸브가 많이 열린다면 증.. 2023. 5. 24. 커패시터(Capacitor) 커패시터 커패시터는 전계에서 충전,방전 함으로써 소자를 가로지르는 전압의 변화를 억제하는 소자입니다. 오른쪽 그래프는 커패시터 양단의 전압을 나타냅니다. 충전전압은 약 63% 까지는 급격히 충전하다가 이후는 서서히 충전하게 됩니다. 방전전압은 약 37% 까지는 급격히 방전하다가 이후는 서서히 방전하게 됩니다. 급격히 충전또는 방전하는 시간을 시정수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시정수(타우)는 C(캐패시터) x R(저항) 입니다. 시정수는 최대 전압 백분율의 약 63%가 되는 시간입니다. C와 R 값이 클수록 충전시간이 길어지고 C와 R 값이 작을수록 충전시간의 짧아집니다. 인덕터와의 차이는 인덕터는 전류의 흐름과 연관이 많고 커패시터는 전압과 연관이 많다는것이지요 커패시터는 인덕터 보다 많이 사용됩니다. .. 2023. 5. 24. 이전 1 ··· 58 59 60 61 62 63 64 ··· 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