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04

아날로그,디지털 (Analog & Digital) Analog & Digital Analog는 연속적인 신호를 의미합니다. Digital은 불연속적인 신호를 의미합니다. Digital은 Analog 신호를 0 또는 1로 표현한 신호를 의미합니다. 사람이라는 작품을 만들때 진흙으로 매끄럽게 만드는것을 Analog라고 할 수 있고 레고 블럭을 이용해서 만든것을 Digital이라고 말할 수 있겠네요 LP판에서 미세한 홈에 의해 떨리는 신호를 Analog 라고 한다면 CD에서 0과 1로 구성된 신호로 재생하는것을 Digital이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아이팟을 만든 스티브잡스도 아이팟 보다는 LP 판으로 음악을 들었다고 하네요 얼핏 듣기에는 똑같은것 처럼 들리겠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레고블럭으로 만든 사람처럼 얼마나 작은 레고블럭으로 사람을 만드느냐가.. 2023. 5. 24.
데시벨 데시벨 데시벨은 로그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수식적인 부분은 추후에 다시 설명하겠습니다. 보통 증폭률 또는 신호의 세기를 이야기 할때 데시벨(dB) 를 많이 사용합니다. 위와 같이 입력신호를 10배 증폭하고 다음단에서 10배 증폭된 신호를 10배 증폭하고 다시 10배 증폭 다시 10배 증폭을 하게 됩니다. 출력신호비 = 10 x 10 x 10 x 10 입력신호 대비 10000배의 신호가 증폭이 되겠네요. 그러면 위의 경우 4단계를 거쳤는데 더많은 경우는 더 많이 곱셈을 해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게 됩니다. 곱하기를 하면 숫자가 커질 뿐만 아니라 일일이 곱셈을 해야 하기때문이지요. 그래서 dB를 사용하게 됩니다. 3dB = 2배 10dB = 10배 20dB = 100배 30dB = 1000배 40dB = 10.. 2023. 5. 24.
임피던스, 최대전력전달 임피던스 일반적으로 저항은 원래 저항이 목적이기 때문에 저항(resistance)이라고 이야기 하고 앞서 인덕터와 커패시터에서 충방전이 갑자기 일어나는것이 아니라 서서히 일어나는것을 보았을것입니다. 이것은 저항성분이 포함되어 있다는것을 의미하기도합니다. 이것을 일반저항과 구분하기 위해 리액턴스(Reactance)라고 부르게 됩니다. 인덕터가 가지는 저항을 유도성 리액턴스라고 하고 커패시터가 가지는 저항을 용량성 리액턴스라고 하지요 유도성 리액턴스는 주파수가 높을 수록 인덕터값이 클수록 높아지게 됩니다. 용량성 리액턴스는 주파수가 높을 수록 커패시터값이 클수록 낮아지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회로는 저항만 있는게 아니라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주파수와 LC의 용량에 따라 LC의 저항이 바뀌게 되.. 2023. 5. 24.
정류회로 정류회로 정류회로란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회로를 말합니다. 전자제품 충전기의 경우 5V,12V 등의 어댑터를 많이 사용합니다. 어떻게 만들어 지는지 알아볼까요? Source는 220V 가정용전압이 교류로 들어오게 되면 인덕터가 2개 붙은것 처럼 생긴 트랜스포머로 가게 됩니다. 이것 어댑터의 80%를 차지하는 철판과 코일로 구성됩니다. 이것의 역할은 전압을 유도하는것입니다. 예를들어 왼쪽에 220회 감고 오른쪽에 12번을 감으면 오른쪽에는 12V의 교류전압이 발생되게 됩니다. 왼쪽에 440회를 감고 오른쪽에 24번을 감으면 전압을 그대로 전류는 2배 증가가 됩니다. 12V의 교류전압은 다이오드를 통해 -쪽 파형이 +쪽 파형으로 나오게 되죠 여기서 보이는 다이오드가 다리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해서 Bridg.. 2023. 5. 24.